안녕하세요!
장마가 지나가고 폭염이 찾아왔습니다. 서울 낮 기온이 무려 35도에 가까웠는데요, 이럴 때 우리는 식중독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여름철을 맞아 식중독 발생이 늘어난 가운데, 요리연구가 겸 사업가 백종원 씨가 달걀 껍데기를 만지고 난 후는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23일 백종원의 유튜브 공식 채널에서 달걀 껍데기를 까던 중 여름은 식중독 위험이 큰 계절이기 때문에 달걀을 만질 때는 특별히 조심해야 한다며 달걀 껍데기를 만졌다면 귀찮더라도 바로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고 말씀하였습니다.
달걀을 만진 후 손을 바로 씻는 것만으로도 식중독 예방에 도움이 될까?
달걀 껍데기에는 살모넬라균이 번식하기가 쉽습니다.
살모넬라균이란?
살모넬라란 가금류, 포유류의 장 내에 기생하는 병원성 세균에 해당합니다. 살모넬라 식중독의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복통, 구토, 설사 등이 있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131건으로 파악됐습니다. 주요 원인은 계란 프라이, 계란말이 등 달걀을 이용한 조리식품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식약처는 달걀을 만지고 손을 씻지 않은 채 음식을 조리하거나 섭취해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며 껍질이 깨지지 않은 달걀을 구입한 후 바로 냉장고에 넣어 다른 음식 재료와 섞이지 않게 구분해 보관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살모넬라균 예방법은?
살모넬라균은 자연에 널리 퍼져있어 식자재에서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열에는 약하기 때문에 가열, 조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입니다. 달걀을 조리할 때 75°C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 후 섭취하고,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익을 때까지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칼, 도마 등 조리도구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육류, 생선, 채소 과일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조리한 도구 등을 세척할 때는 식재료에 오염이 가지 않게 미리 치워두어 주의해야 합니다.
살모넬라의 치료
살모넬라 감염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하지만 물을 충분히 섭취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한 증상이나 고열이 지속될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심한 설사를 동반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화장실에 다녀온 후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을 잘 지키면 전파위험이 없으므로 격리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결론
지금까지 여름철 식중독균 살모넬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달걀에서 많이 감염이 되기 때문에 달걀을 만질 때 특히 주의하시고 달걀을 만지신 후 반드시 손을 씻어 세균으로부터 내 몸을 지키도록 합시다.
무더운 여름철 이 세균을 피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음식 조리와 보관 방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